달력

4

« 2025/4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Eclipse와 Spring Framework를 이용하여 웹 개발을 한다면,가장 사용하기 쉬운 Database는 아마도 hsql이지 않을까 쉽다. 그 이유는 아무래도, Spring Framework에 포함 되어 있는 hsql.jar 라이브러리이 때문이다.

기본 적인 사용 법에 대해서는 Springframework에서 제공하는 Step-by-Step 예제에 잘 나와 있는데, 이를 기준으로 해서 설명하겠다.
먼저, Eclipse에서 설정해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Build Path를 라이브러리(hsqldb.jar)를 등록 시켜 주어야 한다. Spring Framework 2.5버전을 다운 받아서, PC에 설치하였다면, "/lib" 디렉토리 아래 "hsqldb" 디렉토리 아래에 있는 "hsqldb.jar" 파일을 자신의 Eclipse의 Build Path 또는 라이브러리 디렉토리로 옮겨 주면 된다.

아래는 내가 사용하는 Eclipse의 환경이다. 참고하기 바란다. Library 디렉토리는 "war/WEB_INF/lib" 가 있고, 그 아래에 hsqldb.jar 파일이 있다.


이의 사용은 우리는 실제 운영 서버보다는 개발을 위한 용도로 쓰기가 용이한데, 이를 위해서 서버를 구동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아래와 같이 bat파일을 만들거나, DOS의 명령행에서 실행을 시켜 주면 된다.
(물론 JAVA_HOME은 정의 되어 있어야 한다.)


그러면 아래와 같이 실행되는 로그들이 창위에 나타날 것이다.


위에서는 도스 상에서 서버를 실행하는 것을 보여 주었는데, 이는 Eclipse의 Class Path에 
hsqldb.ja를 포함시키는 것과는 상관이 없다.
 
그러므로, 다음 번에는
- Ant를 이용하여, DB 테이블을 생성하고, 테스트 데이터를 추가하는 것과
- Eclipse의 Ant Plug-in을 이용하여, DB Table을 생성, 삭제하는 방법
- Eclipse의 Plug-in을 이용하여 생성된 데이터를 볼 수 있는 방법
등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
Posted by 행복상자
그 동안 사서 봐야할 도서 목록에 들어 있었는데, 이제야 막 주문해서 어제 받아 본 책이 있다. 한국의 개발자들에게 잘 알려져 있는 개발 자 중의 한 명인 켄트 벡의 "구현 패턴"이라는 책인데, 이제 막 읽기 시작한 책이다. 하지만 그의 책은 읽는 사람으로 하여금 생각하게 만들고, 생각할 꺼리를 제공한다.

그의 책은 읽으면, 생각의 흐름을 그대로 글을 통해서 느낄수 있다. 설명과 예제는 누군가에게 말을 걸듯, 가르치듯 이야기한다.

내가 그의 책 여러 권을 여러 번 읽어 보았지만, TDD(테스트 주도 개발)는 정말 난해하다. 아니 사실 읽을 때마다, 다른 관점에서 접근하게 만들고, 이 때마다 나에게 새로운 아이디어를 준다.

구현 패턴 역시 나에게 동일한 아이디어와 영감을 줄거라는 믿음에 의심하지 않는다.

책의 가장 첫장을 열면, 책의 커버를 열면, 가장 먼저 볼수 있는 글은 "한국의 독자 여러분께" 라는 글이다. 그는 한국의 독자들에게 이렇게 말하고 있다.

"프로그램을 짤 때는 자신과 컴퓨터뿐 아니라, 다른 사람들을 생각해야 한다.!"

하지만 이 모든 것이 자신에게 즐거움을 주어야 한다는 것의 그가 책을 통해서 주는 핵심적인 메시지이다.
아는 것과 즐기는 것 그리고 누리는 즐거움이 개발자는 코드를 통해서 하루 하루, 매일 같이 느끼길 바란다. 누구를 위해서? 바로 자신을 위해서....

이제 켄트 백의 구현 패턴의 세계에 한번 빠져 볼 생각이다.
:
Posted by 행복상자
2008. 12. 7. 08:45

SpringFramework 3.0 Released (3.0.0.M1) 공부하는 것2008. 12. 7. 08:45

미국 시간으로 지난 12월 5일 스프링 프레임워크 3.0이 릴리즈 되었다.
지난 주에 미국에서 여렸던 SpringOne 2008 America를 마치자마자 바로 Release 시킨 것이라 생각이 든다. 이에 대한 변화들은 이미 SpingOne과 일민이(Toby)의 블러그를 통해서 알 수 있을 것이다. 아래에 링크들을 만들어 놓았다. 스프링 프레임워크의 전반적인 변화들을 알수 있을 것이다. 지금쯤 돌아가고 있는지도 모르겠다. 호주로...

일민의 SpringOne 2008 탐방기:

그리고 아래는 이번에 올라올 3.0.0.M1 버전의Change Log 이다. 변경된 사항들을 가장 쉽게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한가지 분명한 것은 Dynamic Language에 대한 지원이 점점더 커질 것이라는 것이다.
기능적으로 언어적으로 우세함을 따른 것이 아니라, 실용적인 면에서 좀더 개발을 편하고 쉽게 갈수 있다라는 측면에서 접근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새로운 것들, 특히 Ruby와 Grails는 분명 개발자들이 익혀야 할 시점이 곧 다가 올 것이다
.

(아래 로그 내용 참조)

SPRING FRAMEWORK CHANGELOG
==========================
http://www.springframework.org

Changes in version 3.0.0.M1 (2008-12-05)
----------------------------------------

* revised project layout and build system (module-based sources, bundle repository)
* updated entire codebase for Java 5 code style (generics, varargs, StringBuilder)
* updated to JUnit 4.5 and JRuby 1.1
* removed WebLogic 8.1 and WebSphere 5.1 support
* removed native TopLink API support (superseded by JPA)
* removed Commons Attributes support (superseded by Java 5 annotations)
* removed Jakarta JSTL support for JSP 1.2 (superseded by JSP 2.0)
* removed outdated Struts 1.x Action delegation support
* removed ContextLoaderServlet and Log4jConfigServlet
* deprecated form controller hierarchy in favor of @MVC form object handling
* deprecated JUnit 3.8 test class hierarchy in favor of test context framework
* introduced Spring EL parser in org.springframework.expression package
* introduced #{...} expression support in bean definitions
* introduced @Value annotation for embedded expression support
* introduced @PathVariable annotation for MVC handler methods
* introduced ShallowEtagHeaderFilter
* introduced AbstractAtomFeedView and AbstractRssFeedView
* introduced default value support for @RequestParam
* introduced @RequestHeader annotation for MVC handler methods
* introduced "spring:url" and "spring:param" JSP tags





 

:
Posted by 행복상자
2008. 12. 4. 22:38

New ASP.NET Chart Control 공부하는 것2008. 12. 4. 22:38


최근에 ASP.NET을 지원하기 위한 Chart Control에 대한 발표가 Scott gosly의 블러그를
통해 알려졌다. 아래 링크를 통해서 원하는 개발 환경에 적합한 Control들을 받을 수 있을 것이다. (Sample 포함)

ASP.NET에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아래와 같이 정의하고 사용하면 된다.
ASP를 이용하여 개발 해본 경험이 있다면 아래의 runat의 의미를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서버에서 동작한다는 의미로 서버에서 실행된다.)




아래는 MS Chart 컨트로의 예제들을 보여준다.
한번 사용해 보고 싶다는 생각이 든다. 예전에 VB으로 프로젝트 할 때는 상용 Chart 컨트롤들을 많이 사용했었는데, 사실 그 때 제공 되던 MS의 Chart 컨트롤은 사용하고 싶은 생각이 전혀 들지 않을 정도록 기능과 모양이 떨어 졌었다.
하지만 지금 제공되는 차트 컨트롤은 은 한번 사용해 보고 싶다는 동기를 자극한다. 



:
Posted by 행복상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