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4

« 2025/4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지난 토요일은 그동안 벼루었었던 애니메니션 "벼랑 위의 포뇨"를 나의 사랑하는 딸 서현이와 같이 보고 왔다. 사실 그 동안 같이 다양한 3D 애니메이션을 보고, 영화를 보았지만, 30분을 넘기는 작품이 거의 없었다. 최근에 보았던 "쿵푸 펜더"마져도 1시간을 넘기지 못하였다.
아이들에게는 스토리보다도 캐릿터에게 몰입하는 경향이 있기때문인지, 캐릭터의말투와 몸 동작과 스토리는 직접적으로 영향을 끼친다. 이 영화는 7살인 내 딸에게는 끝까지 아루런 불평없이 본 최초의 영화가 될것이다.



우리가 본것은 "한국어 더빙"이 된 것이었다. 내 욕심같아서는 원작 그대로의 목소리를 듣고 싶었지만, 딸 앞에서는 아빠의 욕심일 뿐이다. 그러나 생각과 기대 보다도, 더빙은 잘 되어있었다. 성우들의 목소리가 애니메션의 이질적이거나 어색한 부분은 크게 드러나지 않고 잘 동화되어 있었다.
이 때문에, 영화를 마치고 나서도, 더빙을 본 것에 대한 아쉬움은 크지 않았다. 따라서 한국어 더빙판을 본다고 해도 이부분이 감동을 방해하거나 영화에 몰입하는데 방해가 되지 않을 것이다.


내가 알로 있는한 "미와자키 하야오"감독의 애니메이션들은 여러면에서 공통적인 부분들을 가지고 있다. 이 것들은 최초 작품들에서 부터 일관된 줄기아래서 관객들에게 이야기 되어지고 있는데, 이번 작품역시 여러가지면에서 동일하다. 하지만 주인공들이 5세 아이인지라 직접적인 말보다는 관객의 상상에 맡기었을지도 모른다.

먼저, 여자 아이가 주인공으로 나온다. 이번 작폼 "벼랑위의 포뇨"에서는 최 연소의 주인공을 배출하였다. 극중 "포뇨"의 나이는 겨우 다섯살의 아이이다. "원령 공주",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 "천공의 성 라프타"등에서도 마찮가지로 여자아이가 주인공으로 나와 이야기를 이끌어 가고 문제를 해결한다.

둘째로, 동화에서 모티브를 가져온다. "벼랑위의 포뇨" 역시 안데르센의 동화 "인어공주"에서 모티브를 가져왔다. 하지만 극중의 결말은 원작의 그것과는 전혀 다르다. 행복한 결말을 보여주기 원하는 감독의 의도는 변치 않는다.

셋째로는, 자연과 인간의 파괴에 대해서 이야기 하고 있다. "바람의 나우시카"와 "원령공주"등에서와 같이 파괴되는 자연과 인간의 욕심에 대해 이야기 하였지만, 극중에서는 포뇨의 아빠를 통해서 이러한 부분들은 간접적으로 이야기 되어지고, 파괴되기 이전의 자연으로 돌아가기를 원하는 미야자키 하야오 감동의 메시지를 대신 이야기 한다.

넷째는, 사랑과 꿈 그리고 행복을 이야기 한다. "미와자키 하야오"의 작품들은 항상 해피엔딩으로 끝을 마무리한다. 포뇨의 경우도 안데르센의 인어공주와는 다르게 행복한 결말로 마무리 된다. 오래된 마법은 포뇨를 인간으로 만들어 줄수 있지만, 사랑을 얻지 못하면 "죽음"으로 그리고 "물거품"으로 사라져야 하는 대가를 치루어야 한다. 결국은 모든 역경과 갈등은 해결되고, "행복"을 취하게 된다. 그러면서 가족의 사랑을 관객들에게 자연스럽게 이야기 한다. 이러한 것들은 마법을 통해서 검증이 되기도 한다.
"사랑"을 통해서만 마법으로 만들어진, 가면과 껍질인 벗어지고 자연스럽게 본래의 모습들이 드러난다.

다섯째는, 무정부 주의에 대해서 이야기 하는데, 사실 이번에 본 "벼랑위의 포뇨"는 이러한 부분들을 쉽게 찾아 볼수 없다. 다만 하나의 바다를 통해서 하나로 되어 있는 세상을 말하고 있을 뿐이다. 섬마을의 모습은 어는 특정한 나라로 보이지 않고 있다. 재난 중에도 서로를 격려해 줄 수 있는 따뜻한 마음을 가진 사람들만이 존재할 뿐이다.

여섯째는, 애니매이션 중에는 아주 악한 악인들이 보이지 않는 다는 것이다. 악인이라고 생각 했지만, 사실을 따뜻한 마음을 지니고 있고, 극이 끝날 때는 선인으로의 모습을 보여주곤 한다. 다만 필요되었던 것은 극을 이끌어가는 사건을 만들때 뿐이다. "센과 치히로의 행방 불명" 과 "하울의 움직이는 성"에서도 그러한 모습들을 찾아 낼 수 있다.

사실, 포뇨를 보면서 여러가지 생각들이 가질수 있겠지만, 주인공들의 순수함이 잘 표현되고 나타나 있는 영화이다. 애니메이션은 "센과 치히로의 행방 불명"에서와 같이 투명하고 깨끗하게 그려지지 않았다. 약간 탁한 느낌의 수채화와 같은 배경과 바다 풍경은 어둡워 보이기만 하다. 그리고 양노원의 할머니는 어디서 본든한 느낌이 든다.(하울의 움직이는 성)

그리고, 월트 디지니의 영향인지는 모르지만, 빨려들것 같은 뭉클한 배경음악들이 영화를 이끄는 힘이다. 그 만큼 영화는 배경음악과 테마송에 신경을 많이 쓰고 있다. 이번 역시 음악은 항상 적절할 뿐만 아니라 감동을 불러 일으키기에 충분할 만큼 잘 만들어져 있다.

스토리 라인은 "하울의 움직이는 성"에서는 굉장히 많은 부분에서 어색하고 끊김이 많았었다. 마치 정해진 시간동안 상영하기 위해서 칼질당하였던 것과 같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적지않은 실망감을 관객들에게 주었었다. 하지만 이번 작품에서는 자연스럽게 이야기의 맥들이 이어진다. 적절한 긴장감을 유지하고 쉬기도 하고, 감독이 많은 부분들을 신경썼다는 생각이 든다. 다만 부족한 것은 5세의 꼬마 주인공이어서 그런지 심리적인 갈등이 전혀 드러나지 않는다. 그리고 반전이 없을 뿐이다. 그러나 이마져도 꼬마 주인공의 순수함과 귀여움으로 커버된다.



 
:
Posted by 행복상자
2008. 12. 20. 09:34

ASP.NET MVC Design Gallery 공부하는 것2008. 12. 20. 09:34

오늘 Microsoft사에서 새로운 ASP.NET MVC Design Gallery 를 오픈하였다.
이를 통해서 ASP.MET MVC 애플리캐이션을 개발할 때 쉽게 적용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html 디자인 temlets와 CSS Stylesheet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관련된 파일들을 Zip 파일로 압축해서 제공하는데,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3.0 license 아래에서 무료로 사용이 가능하다.


Microsoft사에서는 사실 그동안 Form view 위주로 ASP.NET의 개발을 진행하여 왔다. 그리고 그 나름 대로의 장점도 많이 가지고 있지만, 코드와 디자인을 완전히 분리하기는 쉬운 작업이 아니였다.  
ASP.Net의 MVC 도입도 이러한 부분들을 보완하기 위함이라는 생각도 들지만, 향후 ASP.NET에서 가장 큰 관심을 쏟아 부을 것도 역시 MVC Framework의 지원일 거라고 확신한다.

오늘 오픈된 Desigh Gallery도 그러한 지원의 한 부분이다. 그리고 ASP.NET MVC에서 Schefolding을 지원하는 것 역시 경이롭다. (LINQ to SQL, LINQ to Entity and NHibernate 까지 지원한다.)

 ASP.NET MVC는 MS쪽 웹기술을 이용하여 개발하고 있거나, 그럴 계획이 있다면 꼭 관심을 갖고 지켜보기 바란다. 이전의 Blog를 통해서도 이야기 했었지만, Rails의 Schefolding은 Web 기술 발전에 굉장히 많은 부분에 영향을 주고 있으며 앞으로도 줄 것이다.

'공부하는 것' 카테고리의 다른 글

Free ASP.NET MVC eBook Tutorial  (0) 2009.03.12
Microsoft Azure Platform  (0) 2008.12.29
SpringFramework 3.0 Released (3.0.0.M1)  (0) 2008.12.07
New ASP.NET Chart Control  (1) 2008.12.04
SQL Server Express Network 연결 설정 방법  (0) 2008.12.02
:
Posted by 행복상자
오늘 내가 구독하고 있는  Google 블러그에 다음과 같은 제목의 글이 올라왔다.

구글이 제공하는 KT 무선 인터넷을 스타벅스에서 만나보세요! 

무척 간단하지만 상업적인 냄새가 물씬 풍기는 두 회사의 이름이 보여서 처음은 별거 아니겠지라는 생각을 했었는데,내용을 쭉 읽어보니 정말로 무료를 이야기 하고 있었다.

특히 별도의 사용자 등록과정  없이, 초기 화면에서 "인터넷 사용하기" 버튼만 누르면 된다고 한다. 복잡한 과정없이 사용한다는 점은 참으로 좋은 것 같은데, 이 마져도 없으면 좋겠다는 나의 바람은 욕심일까?

우리 동네도 들어 왔는지 궁금하다.

'좋아하는 것' 카테고리의 다른 글

Microsoft Data Center 4 Generation  (0) 2008.12.26
Apple iPod용 MS Seadragon  (0) 2008.12.17
Micosoft Surface 소개와 데모  (0) 2008.12.02
Silverlight Version 3 에 대해서...  (0) 2008.11.19
Welcome to the Application On Silverlight  (0) 2008.11.19
:
Posted by 행복상자
2008. 12. 17. 23:46

Apple iPod용 MS Seadragon 좋아하는 것2008. 12. 17. 23:46

며칠전에 ZDNet에서 보고, 기사를  스크랩 했었는데, 오늘에서야 정리한다.
MS에서 해룡(Seadradon)을 공개했는데, 이를 Apple iPhone용으로 발표했다. 아마도 MS의 첫번째 iPhone용 Application이 아닌가 싶다.
ZDNet에 발표된 자료는 다음과 같다.


Microsoft사의 Site에서 SeaDragon에 대한 프로젝트를 찾아 보니, 마이크로 소프트사의 Live Labs에서 진행하고 있는 프로젝트 중에 하나였다.
이곳에서 이번에 Apple iPhone용으로 개발해서 Apple App Store에 공개하였다.


실제 기사를 보고, 자료를 찾아보는 것은 이번 주였지만, 애플 스토어에 올라온 것은 1주일 전이라른 것을 위의 이미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MS가 Applie용 Application을 만든다는 것은 많은 것을 시사하게 된다.
단지, Apple용 애플리케이션을 만든다는, 요즘 사람들이 가장 관심을 많이 받고 있는 모바일 기기용 제품을 만들었다는 것 자체만으로도 주목을 받을 만하다.

조금 시간이 지난 이야기 지만, Adobe의 Flash에 이어서, Apple iPhone용 Silverlight를 만들어 제공하겠다고, MS가 이야기 한바 있다. 참고로 스티브 잡스는 Adobe의 제안을 Plash가 동작하기에는 무겁다는 이유로 거절한 바 있다.

Seadragon은 DeepZoom이라는 기술을 이용하여, 만들어 졌는데 이는 사실 Silverlight를 위한 기술이다. Silverlight를 소개하는 어떤 컨퍼런스나 세미나 또는 Webina에는 꼭 이를 이용한 데모가 소개되곤 한다.

Live Labs의 Seadragon 프로젝트를 소개한 내용을 보면, DeepZoom을 이용하여 개인들이 블로그에 이 기술을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고 있는데,


와 같은 두 가지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DeepZom Composer는 쉽게 기능을 개발 할수 있는 기능등을 제공하는 이를 위한 사용자 가이드는 여기에 있다. ( Deep Zoom Composer User Guide )

그리고 개발자 들은 Seadragon Ajax Library 를 이용하여 또한 필요한 Application 개발이 가능하다. 

아래는 Live Labs에 SeaDragon에 대한 동영상 링크이다.
 그리고 ,아래는 Youtubu에 올라와 있는 동영상 들이다.



:
Posted by 행복상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