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11

« 2024/11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나는 SF영화를 좋아한다. 

현실적이지 않기 때문에 상상력을 동원할수 있어서이기도 하고, 미래의 모습을 영화를 통해서 예측할 수 있어서 이기도 하다. 누군가의 상상을 또는 예측을 스크린을 통해서 이해할수 있어서 이기도 하다.

 

"트랜스포머"가 2007년도에 한국에 개봉을 하면서, 어렸을때 보았던 로봇 애니메이션과 만화속의 이미지를 그대로 스크린을 통해서 보게되었다. 이는 로봇영화에 대한 소년기 남자들 로망을 어른이 되어 있는 나에게 충족시켜 주었었다.

상상을 통해 그려보던 모습을 마치 살아 있는양 스크린 속의 변신 로봇의 모습은 거침없이 뛰어다녔었다. 


근래 10년동안에서 가끔씩 나오는 "트랜스포머" 시리즈는 처음의 감동은 아닐지라도, 향수와 추억을 머금고 있어서인지, 시리즈가 나올때마다 만나야 되는 영화가 되었다. 그러나, 새로운 이야기가 영화로 나올때마다, 스케일과 물량은 커졌지만, 이야기 측면에서는 커다란 감흥을 주지는 못해왔다. 상업적인 영화이기 때문이지만, 다음 영화에 대한 기대감이 점차 사라졌기 때문에 시리즈에 대한 위기감이 컸다.


지난주에 보았던 범블비는 이전에 보았던 트랜스포먼와는 다른 형식의 영화이다. 트랜스포머의 "프리퀄"이라고 이야기 하고 싶지는 않다. 이야기의 처음은 전쟁중에 지구로 오게된 "범블비"의 여정의 과정을 보여주지만, 트랜스포머의 기원과 오토봇과 디셉티콘의 전쟁에 대한 오랜 이야기의 시작을 말해주지는 않는다. 


80년대를 살아본 사람에게는 추억과 이야기 거리를 줄 수 있는 영화이다.




"범블비"는 한소녀와의 우연한 만남을 통해서 서로 자극 받고 성장하는 성장 드라마와 같았다. 

이전에는 동물 또는 다른 사람과의 만남을 통해서, 다른 사람 또는 매개체를 통해서 갈등과 트라우마를 극복하는 영화들이 많았기에, 이야기의 플롯은 너무나도 심플하기만 하다.


갈등의 관계도 가족간의 이해를 바탕으로 한꺼플씩 오해를 벗으면서, 어느덧 이야기는 마무리가 된다.

그리고, 새로운 이야기의 시작을 알리면서 영화는 종료된다.


선과 악의 관계도 명확하고, 아군과 적국의 관계도 명확하게 보여주어서, 이전의 "트랜스포머"의 복잡해지 상호관계를 단순하게 만들어 주었다. 이러한 단순한 관계는 "범블비"를 "트랜스포머" 시리즈중에도 역대급으로 만들어 주었다.





:
Posted by 행복상자

어제는 어렸을 때 보았던 TV 시리즈의 기억을 되살리면서, 영화 '아쿠아맨'을 보았다.

그런데, 예전의 TV에서 보았던 내용과는 다른 탄생의 기원으로 시작한다. 물탱크와 연구실의 수족관에서 생활하는 잘생겼던 주인공인데, 물이 없는 환경에 오래 노출되면, 약해지는 캐릭터였다.

WIKI를 찾아보니, DC상의 여러버전의 '아쿠아맨'의 탄생 이야기가 있다. (내가 기억하는 내용은 이중에 하나인듯...)영화속 주인공의 탄생은 내가 알던 내용과는 다른데, 영화속의 탄생 스토리가 '아쿠아맨'을 영웅화하는데는 더 나아 보인다. 



 

'아쿠아맨은'은 '등대지기'인 인간이 어느날 바닷가에 떠 내려오는 아클란티스의 공주를 구해주면서, 사랑의 빠지게 되고, 탄생을 하게된다. 


영화 '토르'가 망치를 손에 들고 나타났을때와 같이 '아쿠아맨'도 전설의 삼지창을 찾기위해 '메라'공주와 비밀의 단서들을 풀며, 여행을 떠나고 단다.


인간세계와 수중세계간의 전쟁의 위기에서 이 위기를 극복하는 과정에서 '아쿠아맨'은 영웅으로서의 자질과 면모를 보여주며, 존재감을 드러내게 된다.

'DC 코믹스'의 최강 수중 캐럭터로서의

'아쿠아맨'은 이전에 실패한 DC의 다른 영화보다는 기대감을 높인 영화이다.

그 이유는 '컨저링'과 '분노의 질주: 더 세븐'을 만들며, 그만의 재능과 감각으로 사람들의 기대감 이상으로 항상 자신의 능력을 입증해 왔던 "제임스 완" 감동이 메가폰을 쥐었기 때문이다. 


DC는 이전에 발표한 영화들에서 여러차례 망작들은 내놓았기 때문에, 사실 그들의 세계관과 히어로 캐릭터에 대한 매력을 기대하기 어렵다.

DC의 캐릭터들이 성숙하기도 전에 '아이언맨의'과 '토르'의 성공에 기반한 영화 '어벤져스'를 따라가려했던 미완의 'DC 세계간'과 '히어로'간이 벨런스 조절의 실패가 DC 영화에 대한 흥미와 매력 반감시켜왔다.

(어떻게 슈퍼맨과 배트맨이 같은 레벨로 싸우나구....)


이전의 'DC' 영화중에서는 '원더우먼'이 가장 탄생과 성장이 측면에서 사람들의 관심과 흥미로움을 끌어내기에는 훌륭한 영화라고 생각 되는데, DC의 다른영화처럼 복잡하지 않기 때문이다.

'아쿠아맨'도 누가봐도 명확한 선과악의 대립관계를 단순하게 표현하기에, 영화에만 집중할 수 있다. 만약 주인공의 갈등과 복잡한 심리를 표현하려 한다면, 영화는 또 산으로 갔을거다.


이와 더블어 '아쿠아맨'도 매력적인 영화속의 캐랙터와 더불어서 새로운 재미를 이끌기 위한 포석으로서의 역활을 잘 해 놓을 것으로 생각된다.

영화속의 캐릭터 중에 '메라'공주는 다음 영화를 기대하게 만드는 중요한 캐릭터이다. 이는 `아이언맨`의 `페퍼 포츠`의 역활을 기대하기도 하지만, 독자적인 히어로 영화로 만들어져도 멋질 것으로 생각이 된다.


영화의 마지막에는 쿠키 영상이 있는데, '아쿠아맨'의 적으로 떠오른 '블랙 만타'와 '신' 박사의 궁합이 궁궁하다. 그러나, '블랙 만타'만으로는 적의 역량은 다소 부족해 보인다.

이를 어떻게 풀어갈지 다음 영화에 대해서 기대해 . 


:
Posted by 행복상자

늘은 이것 저것 생각하다가, 예전일이 생각이 났다.


내가 nodeJS 처음으로 사용하기 시작한 것은 2년전 어느 이른 봄으로 기억이 된다.

당시의 나는 쏟아져 나오는 새로운 기술들과 Cloud기반의 서버 기술들을 들여다 보면서, 어떤 것을 공부를 해야할지 수 개월째 맴돌고 있었던 시기로 기억된다. 


하루가 다르게  쏟아져 나오는 새로운 기술들이 눈과 귀를 즐겁게 하였지만

   "무엇을 공부해야할까?" 

   "무엇을 배워야 할까?"

 

대해서 나름 심각하게 고민하고 스스로에게 물어 보는 시간이 많았다.

AI와 머신러닝, ReactJava, Java 8, Lamda, 함수형 프로그래밍,  V8 엔진을 기반으로한 Javascript 기반의 서버 프로그래밍 등등 말이다


이러한 고민의 시작은 사실, 90년대에 서버 클라이언트 프로그래밍을 시작으로 2000년대 초반에는 3 Tier기반의 서버 개발로 할 때는, 모든 서버의 설치와 구성 및 설정을 위해 개발자는 당연하게  사전에 검토와 분석을 기반으로 설계를 하고 개발을 하고 운영까지 하였다. 그리고 당연하게 개발을 위한 소프트웨어 스택과 라이브러리에 대한 기능도 세세하게 검토하고, 버전을 확정한후에 개발을 시작하였다.


하지만, 현재의  AWS와 같은 Cloud 환경과 Spring과 같은 휼륭한 Framework를 사용하거나 완성도가 높은 오픈 소스를 사용하게 되면, 수개월에 걸쳐서 검토하고 기능을 익혔던 과정은 불필요한 작업이 되었다.

내 생각을 덧붙이자면, 누구나 쉽게 개발할 수 있는 환경이 된 것이다. 

이전에 MSDN CD 또는 DVD를 통해서 학습했던 내용들은 인터넷을 이용하면 바로 바로 이용가능한 예제와 설명들을 찾을 수 있다. 


새로운 시대가 도래한 것이다.

그런데, 어떻게 나는 무엇부터 시작을 해야 할지, 알수가 없었다. 몇몇 사람들과 이야기를 나누어 보았는데, 나와 비슷한 고민을 하는 사람들이 있었다. 

알파고의 파도가 지나간지 얼마 되지 않았기에 AI를 공부하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지만, 나는 엔지니어적인 관점에서 접근하고 싶었다. 내가 DB엔진을 만지지않고, DB를 사용하는 것과 마찮가지로 AI와 머신러닝이 어는 정도 성숙된 이후에 공부하고 싶었다. (요즘이 그 때인것 같다.) 


이러 저러한 여러 가지 생각을 하다가, 아무것도 시작을 못하고 있었는데,  

그러다가 내린 나의 생각은 이랬다.  

 

결론은


무엇이 되었던, 일단 한가지씩 시작해 보는 것이다


별다른 고민을 하지 않고, 크지 않은 새로운 과제에 nodeJS 사용해 보기로 하였다

마침 VS Code를 사용하면서, NodeJS와도 궁합이 잘 맞는다는 것을 알았기 때문에, 바로 사용을 할 수 있었던 것 같다. 


꼭 NodeJS 사용해서 원하는 작업을 해야만 하는 것은 아니었다. 

Perl 또는 Python 또는 Groovy 이용해서 Batch 스크립트를 만들어도 되는 간단한 작업 이었기 때문에,
그리고, 새로운 언어를 하나 더 배울 수 있다라는 측면과 호기심에서 시작을 하게 되었다.

아~ 갑자기 생각났다. 그때 AWS에 새로운 가능으로 Lamda가 추가되었는데, 지원하는 언어중에 하나가 바로 NodeJS 였다.   


그때 해야 했던 작업은 배치작업을 만들어야 했는데, RestAPI 정기적으로 호출해서 DB 테이블에 비어 있는

필드를 채워서 테이블을 확인하고 업데이트 하는 것이었다.

NodeJS의 비동기적인 동작에 대해서 잘 알지 못하는 상황이어서, Async와 I/O Non-Blocking에 대해서 작업이 필요한 상황이었다. (지금이라면, 굳이 NodeJS를 사용하지 않습니다. ) 


작업순서는 다음과 같았다.

먼저 AWS S3 에서 로그를 다운로드 받는다. 다운로드 받은 로그를 약간의 분석을 위해서 메모리에 Map형태로 잘 말아서 올린다. 그리고, DB Table 비어 있는 필드를 찾아서 업데이트 하는 작업과 Rest API를 호출해서 DB상의 테이블의 구멍난 부분을 찾아서 채워는 작업이었다.


기본적으로 배치로 돌기 때문에, 시간적으로는 제한을 받지 않기 때문에 기존의 Sync 작업으로 진행해도 되었지만, NodeJS 사용한다라는 것은,  Async 대한 기본적이 고민이 선행될 필요가 있다. (물론, 지금이라면 await async 키워드를 이용하거나, Promise 사용하면 되겠지만...)


비동기 처리는 

내가 원하는 작업 순서에 따라서 로그를 찍지 않는다, 파일을 읽어 올때나, DB에서 쿼리를 실행해 결과를 가져올

때나, 서버로 부터 API 호출하고 Response를 받을때도, 비동기로 찍어주는 로그는 내 예상과 다른 순서와 시점에 로그를 까만 화면에 번쩍이면서 찍고내고  있었다.


사실 비동기 프로그램은 비주얼 베이직에서 이벤트를 받아 처리하거나, 콜백 함수를 이용한 메소드의 실행 측면으로 이해한다면, 이해적인 측면에서 쉬울 수 있지만, 순차에 따른 호출을 하고 싶은 경우에는 중복된 콜백 메소드의 호출을 보게된다.  call-back hell이라고 부르는 그것을 말이다. 


Call-Back Hell을 피하기 위해서 메시지 루프와 같은 형태로 Event를 처리하는 방법을 사용해서 피해보기도 하였으나, 마음에 들지 않는 방식이었다. 


그러다가, 네트워크 작업과 DB 쿼리가 비동기로 호출되는 상황에 대해서 고민을 하면서만들어 솔루션은 

 Task 큐에 넣고, 호출하고, 결과를 비교하는 콜백 함수를 이용하는 방식으로 마무리 하였.

 
그리고, 동기처리가 필요한 작업순서를 지정하기 위한 방식으로 Perl 이용했었다.

순전히 Call-Back을 중첩하여 사용하기 싫어서 사용한 방법이었는데, 나름 메시지 큐를 만들고, 들어오는 결과를 처리하는 방식이어서, 간단하지만 좋은 방식이었다.


만약, 지금이라면 다른 방식으로 해결할 것인데, 공부하는 측면에서는 도움이 많이 되었다.

NodeJS는 장점도 많지만, 단점도 많다, 하지만 장점이 워낙 커서 단점을 가릴 정도로 훌륭하다.



'행복 > 나의 생각'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루를 반문하다.  (0) 2011.10.24
변화의 시절의 내가 살아가는 것.  (0) 2011.07.30
사진없는 독일 출장기 (2)  (0) 2011.07.30
사진없는 독일 출장기 (1)  (0) 2011.01.16
벌써 1년이 지났다. 앞으로는...  (2) 2010.10.31
:
Posted by 행복상자
2018. 12. 18. 23:30

nodeJS와 Express 설치하기 공부하는 것/Node Js2018. 12. 18. 23:30

VS Code는 회사에서도, 집에서도 많이 사용하는 IDE이다.

오늘은 간단하게 테스트할 것이 있어서 띄웠는데, MacOS에는 nodeJS가 설치가 되어 있지 않았다.

간단하게, "nodeJS"를 설치하고, 내친김에 Express를 설치하려고 한다.


NodeJS는 "https://nodejs.org/ko/" 또는 "https://nodejs.org/en/" 에서 다은 받아 설치하면, 된다. 
브로우저가 설치되어 있는 OS에 따라서 다운해서 설치할 바이너리가 달라진다. 



위 화면에 두개의 버전이 있는데, "10.14.2 LTS" 버전을 설치하기로 한다.

윈도우즈와 MacOS 버전 모두 바이너리 버전으로 설치하기 때문에, 다운 받아서 실행하면 바로 설치가 가능하다. (다른 방식으로 cli 명령으로 설치도 가능한데, 오늘은 쉽게 가기로 한다.)


설치가 완료되었으면, 설치 버전을 확인해 본다. nodeJS설치할때 같이 설치되는 패키지 매니져인 npm의 버전과 nodeJS의 버전을 아래과 같이 확인해 본다.

mymac$ npm -v

6.4.1

mymac$ node -v

v10.14.2


이번에는 nodeJS를 이용하여 웹을 개발할때 사용하는 Express 라는 Framework을 설치할 차례다.

Express는 "https://expressjs.com/ko/starter"에 나오는 순서대로 설치하면 된다.


아래와 같이 npm을 이용하여 express 패키지를 설치한다.  만약 설치시 권한문제로 설치가 단되면 sudo 명령을 사용해서 "sudo npm install express"와 같이 실행하면 된다.

mymac$ sudo npm install express

...


mymac$ sudo npm install express-generator -g 

...


자 이제 마지막으로, express를  이용하여 web 프로젝트를 생성해 본다.

아래의 "- e" 옵션은 templet엔진을 "ejs"를 사용하겠다는 옵션이다.

mymac$ express -e showdata

   create : showdata/

   create : showdata/public/

   create : showdata/public/javascripts/

   create : showdata/public/images/

   create : showdata/public/stylesheets/

   create : showdata/public/stylesheets/style.css

   create : showdata/routes/

   create : showdata/routes/index.js

   create : showdata/routes/users.js

   create : showdata/views/

   create : showdata/views/error.ejs

   create : showdata/views/index.ejs

   create : showdata/app.js

   create : showdata/package.json

   create : showdata/bin/

   create : showdata/bin/www


프로젝트가 생성이 되었으면 실행을 해보자.

아래와 같이 "showdata" 디렉토리로 이동해 들어가서, npm을 이용하여 기본 패키지를 설치하고, "npm start" 명령으로 서버를 동작시킨다.

mymac$ cd showdata

mymac$ npm install

mymac$ npm start


기본 포트는 3000번 포트를 사용하므로, 브라우저에서 "http://localhost:3000"을 치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타나게 된다. 


만약, 실행 포트를 바꾸고 싶다면, "showdata/bin/www" 파일을 열어서 변경하면 된다.


 


  


 

:
Posted by 행복상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