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5

« 2023/5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2019년도가 되면서 새롭게 VS Code의 업데이트된 주요 기능들이다.




"No reload on extension install " 이 기능은 이전에 Extention Plugin을 설치하거나 업데이트 할때마다, 다시 Plugin을 로드해주어야 했었는데, 이번에 개선되어서, 설치 또는 업데이트만 하면 자동으로 리로드가 된다.

알렴서 사용하기 때문에 조금 불편하다고 생각했었는데, 이번 1.31버전에서 개선되었다.


"Main menu updates"는 새롭게 "Go(이동)" 메뉴가 추가 되어서 파일또는 패널의 이동을 도와줄수 있도록 기능들을 모았다. 이전에는 줄간 이동을 위해서 "Ctrl-G"만 사용하였는데, 유사한 기능들이 추가 되었다.


그리고, VS Code에서 사용하고 있던 nodejs ver 8.9는 nodejs ver 10.2 로 업데이트 되었다.

 

Realtime으로  IDE의 색상 테마를 변경할수 있는 기능도 추가 되었는데, 색상은 Dark테마로만 사용하고 있어서 잘 사용할 것 같지는 않다. 그외에 IDE사용에 추가된 가능들은 사용하면서 필요할때 다시 볼 생각이다.


Posted by 행복상자

댓글을 달아 주세요



스프링프레임워크를 사용해서 Restful API를 개발할때, RequestHeader 정보를 가져오는 방법이다.

요즈음에 대세가된 SpringBoot를 이용할 경우에 다른 설정은 크게 필요하지는 않다.

 

"@RestController"를 이용하여, 컨트롤러를 선언해주고, "@GetMapping" 어노테이션을 이용하여, "http://localhost:8080/headerinfo" 라고 호출하였을때, 실행되도로 정의했다. 이때 호출되는 RequestHeader값은 "@RequestHeader" 어노테이션을이용하여 "headers"라는 변수를 통해서 넘겨받을 수 있다.

package net.happyzoo.happzoo;

import lombok.extern.slf4j.Slf4j;
import org.springframework.boot.SpringApplication;
import org.springframework.boot.autoconfigure.SpringBootApplication;
import org.springframework.http.HttpHeaders;
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GetMapping;
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RequestHeader;
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RestController;
import reactor.core.publisher.Mono;

import java.util.Map;

@SpringBootApplication
@Slf4j
public class HappzooApplication {

@RestController
public static class GetControllerPractice
{
@GetMapping("/headerinfo")
Mono<Map<String, String>> getHeaderInfo(@RequestHeader HttpHeaders headers)
{
log.info(headers.toSingleValueMap().toString());

return Mono.just(headers.toSingleValueMap());
}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pringApplication.run(HappzooApplication.class, args);
}

}

위는 Sample 코드이며, Lombok을 이용하여 @Slf4j를 선언해주면, 로그를 남길수 있도록 했는데, Lombok를 사용하지않으면, 선언에서 제외하면 된다.


실행 결과는 다음과 같이 Map의 형태로 반환해서 Mono로 전달하면 Client에서 결과값을 받을수 있다.

return Mono.just(headers.toSingleValueMap());


Terminal에서는 

  curl -X GET http://localhost:8080/headerinfo

와 같이 명령을 실행해서 호출하거나, Chrome 브라우져에서 실행해보면 확인할 수 있다.

IntelliJ에 내장된 Rest Client를 이용해서 호출한 결과이다. Json의 Object형태로 결과를 받아왔다.




Posted by 행복상자

댓글을 달아 주세요

나는 SF영화를 좋아한다. 

현실적이지 않기 때문에 상상력을 동원할수 있어서이기도 하고, 미래의 모습을 영화를 통해서 예측할 수 있어서 이기도 하다. 누군가의 상상을 또는 예측을 스크린을 통해서 이해할수 있어서 이기도 하다.

 

"트랜스포머"가 2007년도에 한국에 개봉을 하면서, 어렸을때 보았던 로봇 애니메이션과 만화속의 이미지를 그대로 스크린을 통해서 보게되었다. 이는 로봇영화에 대한 소년기 남자들 로망을 어른이 되어 있는 나에게 충족시켜 주었었다.

상상을 통해 그려보던 모습을 마치 살아 있는양 스크린 속의 변신 로봇의 모습은 거침없이 뛰어다녔었다. 


근래 10년동안에서 가끔씩 나오는 "트랜스포머" 시리즈는 처음의 감동은 아닐지라도, 향수와 추억을 머금고 있어서인지, 시리즈가 나올때마다 만나야 되는 영화가 되었다. 그러나, 새로운 이야기가 영화로 나올때마다, 스케일과 물량은 커졌지만, 이야기 측면에서는 커다란 감흥을 주지는 못해왔다. 상업적인 영화이기 때문이지만, 다음 영화에 대한 기대감이 점차 사라졌기 때문에 시리즈에 대한 위기감이 컸다.


지난주에 보았던 범블비는 이전에 보았던 트랜스포먼와는 다른 형식의 영화이다. 트랜스포머의 "프리퀄"이라고 이야기 하고 싶지는 않다. 이야기의 처음은 전쟁중에 지구로 오게된 "범블비"의 여정의 과정을 보여주지만, 트랜스포머의 기원과 오토봇과 디셉티콘의 전쟁에 대한 오랜 이야기의 시작을 말해주지는 않는다. 


80년대를 살아본 사람에게는 추억과 이야기 거리를 줄 수 있는 영화이다.




"범블비"는 한소녀와의 우연한 만남을 통해서 서로 자극 받고 성장하는 성장 드라마와 같았다. 

이전에는 동물 또는 다른 사람과의 만남을 통해서, 다른 사람 또는 매개체를 통해서 갈등과 트라우마를 극복하는 영화들이 많았기에, 이야기의 플롯은 너무나도 심플하기만 하다.


갈등의 관계도 가족간의 이해를 바탕으로 한꺼플씩 오해를 벗으면서, 어느덧 이야기는 마무리가 된다.

그리고, 새로운 이야기의 시작을 알리면서 영화는 종료된다.


선과 악의 관계도 명확하고, 아군과 적국의 관계도 명확하게 보여주어서, 이전의 "트랜스포머"의 복잡해지 상호관계를 단순하게 만들어 주었다. 이러한 단순한 관계는 "범블비"를 "트랜스포머" 시리즈중에도 역대급으로 만들어 주었다.





Posted by 행복상자

댓글을 달아 주세요

어제는 어렸을 때 보았던 TV 시리즈의 기억을 되살리면서, 영화 '아쿠아맨'을 보았다.

그런데, 예전의 TV에서 보았던 내용과는 다른 탄생의 기원으로 시작한다. 물탱크와 연구실의 수족관에서 생활하는 잘생겼던 주인공인데, 물이 없는 환경에 오래 노출되면, 약해지는 캐릭터였다.

WIKI를 찾아보니, DC상의 여러버전의 '아쿠아맨'의 탄생 이야기가 있다. (내가 기억하는 내용은 이중에 하나인듯...)영화속 주인공의 탄생은 내가 알던 내용과는 다른데, 영화속의 탄생 스토리가 '아쿠아맨'을 영웅화하는데는 더 나아 보인다. 



 

'아쿠아맨은'은 '등대지기'인 인간이 어느날 바닷가에 떠 내려오는 아클란티스의 공주를 구해주면서, 사랑의 빠지게 되고, 탄생을 하게된다. 


영화 '토르'가 망치를 손에 들고 나타났을때와 같이 '아쿠아맨'도 전설의 삼지창을 찾기위해 '메라'공주와 비밀의 단서들을 풀며, 여행을 떠나고 단다.


인간세계와 수중세계간의 전쟁의 위기에서 이 위기를 극복하는 과정에서 '아쿠아맨'은 영웅으로서의 자질과 면모를 보여주며, 존재감을 드러내게 된다.

'DC 코믹스'의 최강 수중 캐럭터로서의

'아쿠아맨'은 이전에 실패한 DC의 다른 영화보다는 기대감을 높인 영화이다.

그 이유는 '컨저링'과 '분노의 질주: 더 세븐'을 만들며, 그만의 재능과 감각으로 사람들의 기대감 이상으로 항상 자신의 능력을 입증해 왔던 "제임스 완" 감동이 메가폰을 쥐었기 때문이다. 


DC는 이전에 발표한 영화들에서 여러차례 망작들은 내놓았기 때문에, 사실 그들의 세계관과 히어로 캐릭터에 대한 매력을 기대하기 어렵다.

DC의 캐릭터들이 성숙하기도 전에 '아이언맨의'과 '토르'의 성공에 기반한 영화 '어벤져스'를 따라가려했던 미완의 'DC 세계간'과 '히어로'간이 벨런스 조절의 실패가 DC 영화에 대한 흥미와 매력 반감시켜왔다.

(어떻게 슈퍼맨과 배트맨이 같은 레벨로 싸우나구....)


이전의 'DC' 영화중에서는 '원더우먼'이 가장 탄생과 성장이 측면에서 사람들의 관심과 흥미로움을 끌어내기에는 훌륭한 영화라고 생각 되는데, DC의 다른영화처럼 복잡하지 않기 때문이다.

'아쿠아맨'도 누가봐도 명확한 선과악의 대립관계를 단순하게 표현하기에, 영화에만 집중할 수 있다. 만약 주인공의 갈등과 복잡한 심리를 표현하려 한다면, 영화는 또 산으로 갔을거다.


이와 더블어 '아쿠아맨'도 매력적인 영화속의 캐랙터와 더불어서 새로운 재미를 이끌기 위한 포석으로서의 역활을 잘 해 놓을 것으로 생각된다.

영화속의 캐릭터 중에 '메라'공주는 다음 영화를 기대하게 만드는 중요한 캐릭터이다. 이는 `아이언맨`의 `페퍼 포츠`의 역활을 기대하기도 하지만, 독자적인 히어로 영화로 만들어져도 멋질 것으로 생각이 된다.


영화의 마지막에는 쿠키 영상이 있는데, '아쿠아맨'의 적으로 떠오른 '블랙 만타'와 '신' 박사의 궁합이 궁궁하다. 그러나, '블랙 만타'만으로는 적의 역량은 다소 부족해 보인다.

이를 어떻게 풀어갈지 다음 영화에 대해서 기대해 . 


Posted by 행복상자

댓글을 달아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