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4

« 2025/4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Spring MVC는 Spring Framework중에서 웹 개발을 쉽게 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국내에서 출판된 책들은 Source를 제공하기는 하지만, 책을 보고 Source를 실행하려고 하면 잘 동작하지 않는다. 물론 손으로 직접 쳐서 입력할때 오타가 있기는 하지만, 서버의 설정과 환경 구성에 대해서 충분하게 설명해 주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www.springframework.org에서는 제공하고 있는 Spring MVC를 위해서, Developing a Spring Framework MVC application step-by-step
라는 제목으로 Spring MVC개발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2003년에 작성된 것과 올 2008년에 작성된 것이 있다.

예제는 초보자를 위해서, 개발 환경 설정과, Ant의 Build.xml 만들기와 사용법등을 부과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Ant를 사용하는 법도 부과적으로 얻을 수 있다. 이에 대한 목차는 다음과 같다.(2003년도 작성)

[목차] 
Part 1 – Basic Application and Environment Setup
Part 2 – Developing and Configuring the Application
Part 3 – Adding Unit Tests and a Form to the Application
Part 4 – Implementing Database Persistence

위는 2003년도에 작성된 예제와 Sample이고 tex t위주의 설명으로 되어 있지만,  MVC개발을 위한  설정 XML 파일을 어떻게 작성해야 하는지, 그리고 Dispatcher와 Controller 그리고, View에 대한 코드들에 대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예제와 더불어 쉽게 설명하고 있다.

그리고, 2008년도에 작성된 Spring MVC step-by-step의 목차는 다음과 같은데, 설명과 함께 캡처한 이미지를 제공하여 설명을 돕고 있다.

[목차]
 

Overview
1. What's covered
2. Prerequisite software
3. The application we are building
1. Basic Application and Environment Setup
1.1. Create the project directory structure
1.2. Create 'index.jsp'
1.3. Deploy the application to Tomcat
1.4. Check the application works
1.5. Download the Spring Framework
1.6. Modify 'web.xml' in the 'WEB-INF' directory
1.7. Copy libraries to 'WEB-INF/lib'
1.8. Create the Controller
1.9. Write a test for the Controller
1.10. Create the View
1.11. Compile and deploy the application
1.12. Try out the application
1.13. Summary
2. Developing and Configuring the Views and the Controller
2.1. Configure JSTL and add JSP header file
2.2. Improve the controller
2.3. Decouple the view from the controller
2.4. Summary
3. Developing the Business Logic
3.1. Review the business case of the Inventory Management System
3.2. Add some classes for business logic
3.3. Summary
4. Developing the Web Interface
4.1. Add reference to business logic in the controller
4.2. Modify the view to display business data and add support for message bundle
4.3. Add some test data to automatically populate some business objects
4.4. Add the message bundle and a 'clean' target to 'build.xml'
4.5. Adding a form
4.6. Adding a form controller
4.7. Summary
5. Implementing Database Persistence
5.1. Create database startup script
5.2. Create table and test data scripts
5.3. Add Ant tasks to run scripts and load test data
5.4. Create a Data Access Object (DAO) implementation for JDBC
5.5. Implement tests for JDBC DAO implementation
5.6. Summary
6. Integrating the Web Application with the Persistence Layer
6.1. Modify service layer
6.2. Fix the failing tests
6.3. Create new application context for service layer configuration
6.4. Add transaction and connection pool configuration to application context
6.5. Final test of the complete application
6.6. Summary
A. Build Scripts


위의 순서대로 예제를 실행해 보았는데, 어렵지 않게 스프링 MVC에 대해 이해할 수 있었고, 개발시 환경 구성과 설정방법들에 배울 수 있었다.



:
Posted by 행복상자

최근에 Spring에 대한 책을 몇권 구매했다. 국내 서적과 국외서적 포함해서, 대 여섯권정도 구매했는데, 구매하면서 느낀 것은 국내에는 볼 만한 Spring에 대한 책이 그리 많지 않다는 점이다. Spring Framework 자체가 워낙 방대해서, 아니 방대해지고 있어서 그럴지도 모르겠다. 스프링이 관여하는 Framework와 모듈들이 참 많다. (공부할 것들도 참 많다.)

최근에 국내에 소개된 책들은 대부분이 Spring Framework 1.2 기반의 책들이다. Toby(일민)가 스프링 관련 책을 쓴다고 했던것이 약 1년 전인데, 아직도 책의 그림자도 못보고 있다. 그때 당시는 2.0이 나온다고, 2.0에 대한 이야기를 추가 한다고 하더니, 곧 Spring Framework 2.5가 나온다고 다시 업데이트해서 내보낸다고 하더니, 호주로 낼롬 떠나 버렸다.

최근에 호주로 물어볼 것이있어서 전화해서, 언제 다시 책이 나오냐고 물었더니, 바쁘다고 정신없다고만 하고 말끝을 흐리던데, 과연 올해는 책을 구경 할 수 있을지...

암튼 국외 서적에서도 Spring 2.5에 대한 책은 찾아 보기 힘들다. Spring in Action도 2007년에 2판째 나온것도 2.0에 대한 책이다. Spring in Action은 번역판으로 처음 봤는데, 예제를 따라하기 쉽고, 내용의 구성도 잘 된 책이라고 생각했다. 이번에 받은 원서도 그러리라 생각된다.

           


그리고 우연히, Spring 관련 자료들을 찾다가, 일민이가 오래전에 올려놓은 글들을 찾았다. 누군가가 개인적으로 자료들을 모은 것인데, 한번 읽어 볼만하다.

아래는 Toby(일민)이가 예전에 쓴 글이 있어서, 링크를 걸어 놓았다.

[목     차]

    1. 왜 EJB 없는 J2EE 개발에 대해 이야기하는가?
    2. EJB 없는 J2EE 개발이 추구하는 목적
    3. 대표적인 J2EE 아키텍처에 대한 비교
    4. 요구사항을 가장 잘 충족시키는 가장 심플한 것을 찾으라.
    5. 문제 많은 EJB, 그러나 EJB에서 배울 것은 많다.
    6. 경량급 컨테이너와 IoC.

출처 : http://openseed.net:8080/wiki/Wiki.jsp?page=Spring

몇년 전에 EJB로 개발하던 프로젝트가 있었는데, EJB를 꼭 써야 하는지, 정말 필요한지 묻곤했다. 개발하기에 너무 불편했다. 위 내용들을 읽다 보면, 그 때의 그 느낌들이 생각난다.

간단하고, 쉽게 개발할 수 있다면 그게 그 프로젝트에 맞는 옷 일 것이다.
상황과 계절에 맞은 옷을 입을 수 있다면, 그 어떤것이 그보다 편할 수 있을까?


The Simple is The Best!


 

:
Posted by 행복상자
2008. 4. 21. 22:35

ASP.NET MVC의 Roadmap 공부하는 것2008. 4. 21. 22:35

ASP.NET의 로드맵이 CodeFlex에 올라와 있어서, 소개한다.
상세한 내용은 없고, 그냥 참고할 만한 내용이다.

  • Controller Class Refactorings to improve testability
  • Ajax Support
  • Security/Authorization Model
  • Refactor TempData Dictionary for improved testability
  • Helper Methods Improvements
  • Reusable Component Model
  • Silverlight Helpers
  • Various other refactorings and bug fixes

  •  

    :
    Posted by 행복상자
    요즘은 OSGi 자료를 찾기위해서 여기저기 헤매고 다니고 있다. 가끔 귀 동량도 하고, 어제는 호주에 있는 Toby(일민)에게 전화도 했다. 이전에는 Skype를 사용해서 통화를 하기는 했지만, 직접 전화를 하지는 않았었다.
    회사 정책상 Skype를 사용하기 힘들다. (언제쯤 자유로와 질수 있을지)

    작년에 열린 Spring Experence Conference에서 Adrian Colyer의 발표 동영상이다.
    동영상은 아래의 링크를 참조하면 볼수 있다.

    약 1시간 25분이나 되는 세미나 동영상인데, 화면이 작은 관계로, 이해하는데 어려운 부분도 보인다. 세미나 자료를 한번 찾아 봐야겠다.

    OSGI의 장점에 설명하면서, 세미나가 시작이 된다. 가끔 예제도 보이기는 하는데, 작년 8월 경에 열렸던 행사라, 최근에 관련자료가 많을 것이라 예상된다.

    동영상 링크: http://www.springframework.org/node/506
    Adrian은 Interface21의 CTO라는 것을 처음 알게 되었다. 그는 AspectJ에 관련된 일을 했고, AOP로 잘 알려져 있다고 한다.

    시간을 내서 볼만하다.


    * 공부할 것도 많아지고 있다.
       - JSR 277 ; java Dynamic Module
       - JSR 291: Dynamin Component Support for Java SE

    :
    Posted by 행복상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