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4

« 2025/4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나는 전문적으로 주식투자를 하는 사람이 아니고, 많은 관심을 보이는 사람도 아니다. 그리고 주식을 공부하기 위해서 이러 저러한 책은 섭렵하고, 연구하는 사람은 더 더욱 아니다.

그런내 내가 이책은 보게된 것은, 지난해 가을경, 미국에서 시작된 경제위기로 인하여 세계 경제가 긴장 상태에 놓였을때, 김정현 책임이 우연히 나에게 언급하게 된 것이 계기 였다. 이전에도 "시골의사의 경제학"이라는 책을 보려고, 나의 읽을 책 목록에는 넣었지만, 읽지 못하고 지나쳐 버려서 한층 관심이 생겼다.

그때 나의 관심을 끌도록 만들어준 이야기 하나는 주식 투자를 위해서 투자자들의 돈을 끝어드리는 방법에 대한 예 였는데, 투자자들이 의심하지 못하도록 만드는 것이었다. 즉 100% 확실한 정보를 가지고 있고, 그에 대한 증거를 보여주고, 이를 이용하여 투자할 사람들을 찾는 방법이었다. 사람들에게 주식이 오르고 떨어질 거라는 예측을 연속해서 증명한다면, 대부분의 사람들이 믿을 것이다.
먼저 2000명에게 어느날의 주식시장의 동향이 어떨거라는 메일을 보내는데, 1000명에게는 오른다고 보내고, 나머지 1000명은 떨어진다고 보낸다. 이들은 서로를 모르고 개별적으로 받은 메일이라고 생각할 것이다. 그리고 예측이 맞은 1000명중 500명에게는 또 어떤 주식이 오른다고 보내고, 나머지 500명은 떨어질 거라고 보낸다. 이런 식으로 수차례를 예측한 결과가 맞은 사람들에게 반복해서 보내다 보면, 한번도 틀리지 않고 예측이 모두 맞았다고 믿는 사람들이 생겨날 것이다. 이들은 또한 앞으로도 계속 예측이 100% 맞을 거라는 믿을을 갖게 될것이다. 이때 이들에게 투자를 유도하고, 투자자들은 확신가운데 자신의 돈을 기꺼이 푼다는 이야기였다. 

위의 예를 김정현 책임에게 듣고는 갑자기 책에 대한 관심이 생겨났고, 올초에 책을 사사는 회사에서 하루에 몇장씩 책을 보기 시작했다. 그리고는 최근에 1권을 모두 보게 되었다.

책은 내가 생각했던 주식투자를 위한 지침도, 가이드 책자도 아니었다. 저자인 박경쳘씨는 주식 투자에 대해서 이렇거고, 이러니까 이래야 한다고 강력하게 말하지 않는다. 오히려 주식 투자는 성공할 수 없다라고 이야기 하면서, 자신의 지식과 경험을 이야기 한다. 그리고 주식 투자를 말리기까지 한다.
왜냐하면, 주식시장의 역사는 약 200년이 되었지만, 아직도 아무도 예측할 수 없고, 수도 없는 많은 변수들 가운데서 앞으로 이럴거라고 예측하는 것이 무의미 하기 때문이다. 많은 분석과 연구가 있지만, 이역시도 현재의 현상에 대한 분석이지 미래를 예측하는데는 많은 불확실함을 내포하고 있기 때문이기도 한다.

책을 처음 읽으면서, 저자의 이러한 이야기는 책에 대한 나의 예상과는 많이 달랐다.
그리고 책은 주식에 대한 저자의 개인의 생각보다는 경제에 대한 많은 학설과 연구들을 참조하여 객관적인 입장에서 이야기하고 있다. 이러한 경제적인 연구들은 독자들의 이해를 높일뿐만 아니라, 그의 이야기의 객관성을 부여하는데 도움이 될것이다.

1권을 읽으면서, 책을 통해서 경제학에서 다루고 있는 많은 이론들과 돈의 흐름에 대한 연구들을 시대별로 알수 있었다. 그리고 최근의 외환위기와 미국의 서브프라임를 촉발된 현재의 위기에 대한 내용도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었다. 경제에 대한 많은 연구들이 있고 삶에 밀접한 것임에도 무관심하게 지나칠때가 많았는데, 이 책은 알아야 할 것들을 쉽게 이야기 하고 있다.

저자는 1편을 마무리 지을때 까지도 주식을 통해서 대박을 꿈꾸는 이들에게 경고한다. 이는 대부분의 사람이 손해을 볼수 밖에 없는 게임이라고...

내가 이책에서 얻은 것들은 주식에 어떻게 투자를 할것이가에 대한 것이 아니다. 그런 의미에서는 이 책의 제목은 다분분히 미끼(?) 성 문구이지 않나 싶다.
경제와 자본의 흐름에 대한 오랜 역사적인 연구와 실례를 통해서, 미처 보지 못했던 여러가지 경제 논리와 이론들을 알게 되었다. 물론 이러한 이론적인 토대가 나의 삶에서 어떤씩으로 쓰일지는 모르겠다. 그리고 어떤 사람들에게 이러한 것들이 재미 없을 것이라고 할지도 모르겠지만, 적어도 나에게는 책을 손에 들고 있어야하는 이유를 제공해 주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그래서, 사놓은지 오래 되었는데, 아직 읽지 못한 2편을 기대하고 있다. 또 어떤 식으로 나의 시야를 넓혀 줄지... 
:
Posted by 행복상자
자바를 이용하여 개발하는 개발자 대부분은 아마도 서버용 Application을 개발할 거다.
자바라는 언어가 현재는 main stream으로 자리를 잡았지만, 윈도우즈 애플리케이션 보다는 서버 환경에 적합한 기술로 알려지고 있다. 하지만, 개발자들은 대부분 자신이 만든 코드가 동작하는 환경에는 알려고도 하지 않을 뿐더러, 어떤식으로 접근해야 하는지 알지 못한다.
예전에는 하드웨어의 성능을 최대한 이용하기 위해서 WAS와 Web Server의 세부적인 부분까지 알고 튠닝을 하는 일이 많았으나, 요즘은 이를 제대로 알려고 하는 사람들을 찾아 보기 힘들다. 물론 기본적으로 설정한 값들을 그대로 사용해도 잘 동작할 만큼 하드웨어의 성능과 넉넉한 메모리 때문에 시스템 동작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다고 할지도 모르지만, 개발자는 항상 최악의 상황까지도 염두에 두어야 한다.

이 책을 보게된 동기는 제목중에 있는 "코딩 습관"이라는 말 때문이었다. 하지만 전체적으로는 코딩을 위한 내용이라기 보다는 서버의 튜닝과 문제점 해결에 대해 많은 내용을 다루고 있기 때문에, 초보자들에게 좋은 가이드가 될 것 이라 생각된다.
 
이 책의 저자는 SDS에서 실무 경험을 쌓은 엔지니어이다. 책은 가상의 인물을 통해서, 실제와 같은 상황을 예를 들어 개발자가 개발에 관한 기술들을 습득하고, 활용하는 방법에 대해 익혀나가는 것을 독자와 같이 공유토록 이끌어 간다.

개발이라면 코딩이 끝이라고 생각하는 것에서, 시스템 환경 구성과 문제를 어떤 식으로 해결할 지에 대한 가이드가 될 수 있는 책이라고 생각돤다. 이러한 점에서는 제목에 포함되어 있는 코딩 습관이 별로 어울리진 않을지라도, 한번쯤은 읽어 볼만한 책이라 생각된다.

책에서 다루고 있는 내용을 간략하게 소개하면 기본적인 시스템의 메모리 관리와 GC의 종류들과 이를 어떻게 활요할지, 그리고 프로파일링 툴들에 대한 설명들과 Java의 메소드와 API들에 대한 성능및 목적에 맞는 사용법에 대해서
IO에 대한 병목 처리와 로그의 중요성을 설명하고 있다.

그리고 WAS 또는 서버 설정을 위한 기본적인 Thread와 인스턴트 설정에 대한 것과모니터링 API에 대한 JMX에 대한 소개와 사용 방법에 대해서 설명을 한다. 그리고 책의 마지막에는 저자가 실제 있었던 상황들을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사용했던 방법론들을 예를 들어 독자들에게 설명한다. 

결론적으로 이 책은 국내에서 찾아보기 힘든 주제를 다루고 있는 책으로, 초보자들이 전반적인 지식을 얻기에는 도움이 될거라 생각한다. 하지만 제목 대로 좋은 코드를 다루거나 하지는 않기 때문에 코딩 관점에서 책을 보게되면 약간의 실망을 가질것이다. 책에서 다룬고 있는 여러가지 툴들은 개발자와 테스터에게 좋은 툴과 무기로 제공될거라 생각된다. 특히 자바 VM의 GC를 처리하고 이의 동작 방법은 자바의 메모리 관리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것이다.
:
Posted by 행복상자
며칠전에 블로그를 통해서, SpringSource Tool Suite(STS)의 무료 공개에 대해서 언급했었는데, 이제 공식적으로 무료로 공개한다고, 지난 5월 7일자(미국 시간)로 블로그의 "SpringSource Tool Suite is Now Free!" 라는 제목의 글을 통해서 발표했다.

글의 내용을 잠시 읽어보면, Rod Jonson이 지난 SpringOne Europe에서 약속하였던 것을 이행한다는 이야기이다.
그리고 이제부터는 SpringSource Tool Suite (STS)의 정식버전을 무료로 사용할 수 있다는 내용이다.
또한, Christan Dupuis의 최근의 Blog에 추가된 새로운 Feature(2.1.0.M1)들을 소개한다고 한다.

지난 번에는 블로그를 통해서는 Roo가 STS의 한 Feaure로 들어가있고, Roo를 사용해보기 위해서는 STS를 설치해보아야 한다고 이야기한적이 있는데, 이는 2.1.0.M1 버전 부터 가능할 거라 생각된다.

내가 STS에 관심을 갖고 있는 것은 SpringDM과 OSGi번들로 되어 있는 프로젝트 또는 개발된 Application을 제대로 지원하고 있는 툴이 없기 때문이다. 내가 작년부터 진행하고 있는 프로젝트에 도움이 되지 않을까라는 기대 때문에 이전부터 관심을 두어 있었다.

하지만, 아직 설치와 테스틀 해보지 않은 상태이므로, 툴의 장점을 알아가야 하는 과정을 밟아야 한다.
개발에 직/간접적으로 많은 도움을 줄거라는 기대가 있기 때문에, 조만간 날 잡아서 설치해볼 생각이다.

STS는 "download SpringSource Tool Suite"에서 다운 받을 수 있다.


:
Posted by 행복상자
2009. 5. 8. 09:04

Google Trend로 보는 웹 기술 좋아하는 것/Google2009. 5. 8. 09:04

Google Trend를 이용해서, 최근에 사용되고 있는 웹 기술들을을 한번 살펴 보았다.
기술이라는 것이 단지 인기에 의해서 흥하고 망하는 것은 아니지만, 사람들이 관심을 끌고 있는 기술들이 무엇인지 안다면, 분명히 그 이유가 있다. 그리고 이를 안다면 개발하고자 하는 프로젝트에 적용할 때, 적지 않은 도움이 될거라고 생각된다.

내가 회사에서 관련 있는 프로젝트는 ExtJS를 기본 Javascript Framework로 사용하고 있는데, ExtJS는 라이센스가 유료이다. 그리고 많은 Component를 개발자에게 제공하지만, 이를 숙달할수 있도록 익히기 위해서는 약 2달정도의 공부할 수 있는 시간이 필요하다. 왜냐하면, Javascript와 CSS의 기본을 충분히 알지 못한다면, 각 Componet를 원하는대로 쉽게 제어하기 힘들기 때문이다.
그래서, 최근에는 JQuery를 검토하고 있고, 이는 생각보다 개발자드의 코드를 많이 줄여주고, 코드를 단순화 시키는데 도움이 된다. 

Google Trend를 통해, 이러한 기술들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도를 알아보기 위해서 검색을 해보니, JQuery에 대한 관심도가 상승곡선을 타고있고 Prototype과 ExtJS는 상대적으로 낮은 traffic을 보여주고 있다.

     jquery: 6.40    prototype: 9.80    extjs: 1.90

 위 그래프는 JQeury의 관심도가 ExtJS보다 약 6배정도 높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ExtJS를 1이라고 볼때, JQeury는 6.40의 traffic을 보여주고 있다.)  Prototype의 traffic은 초기부터 현재까지 거의 일정하다. 이를 사랑하는 사람들이 꾸준한 애정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다음은 개인적으로 관심을 가지고 있는 Microsoft의 ASP.NET MVC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도를 알아볼 것이다.
최근에 ASP.NET 3.5의 Extention으로 마이크로소프트 사는 MVC프레임워크를 개발하고 1.0버전을 공식 발표했다.
이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도는 기대 이상으로 보인다. 향후에 이를 이용해서 개발하는 개발자들이 꾸준하게 늘거라 생각한다. 그리고 MS에서는 Asp.net에서 제공하는 기본 Javascritp framework으로 JQuery를 제공하고, 이를 Visual studio에서 툴로서 지원하고 있다. 

최근에 많이 사용하고 있는 Spring MVC와 Structs를 비교해서 검색해 보았다.
Spring MVC는 꾸준하게 관심도를 유지하는 반면에, Structs는 시간에 지남에 따라 상대적으로 관심도가 줄어 들오 있다. 이에 반해 MS의 ASP.NET MVC는 최근에 발표된 이후로 많은 관심을 끌고 있음을 아래 차트를 통해서 알수 있다.
 
    spring mvc: 2.10    struts mvc: 1.00    asp.net mvc: 1.40  

위의 차트가 모든 것을 다 말해줄수는 없다. 최근에 발표되었기 때문에 MS의 ASP.NET MVC가 사람들의 관심을 끌고 있을 수도 있고, 검색 조건에 따라서 차트의 결과가 달라질 수도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분명한 것은 개인적으로는 MS에서 발표한 MVC 프레임워크와 Scheffold 기능은 오픈 소스에서 진행되었던 여러 프로젝트의 장점들을 따서 만들었기 때문에 개발자들에게 도움이 될거라는 점이다.

어떤 기술을 선택할지는 개발자의 몫이다. 기간과 리소스와 개발자들의 기술 수준을 고려해서 프로젝트 초기부터 잘 검토한다면, 효율적인 개발이 이루어질거라 믿는다. 초기에 제대로 검토하는 시간과 노력없이 프로젝트를 진행해서 나중에 땜빵으로 누더기를 만드는 프로젝트를 여러번 보아왔다. 이 또한 개발자의 양심과는 대치대는 것이지만, 후 작업과 품질 좋은 코드를 원한다면, 초기에 많은 시간이 들여야 한다.

항상 하는 이야기지만, 개발자는 코드로 이야기 해야한다.
:
Posted by 행복상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