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7

« 2025/7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시간이 흐른다는 것을" 인지하는 순간부터, 이전의 나와 다르다는 것을 알게된다.
물론 "나는 변하지 않고, 주변의 것들이 이전과는 다르다."라고 말할수는 있지만, 이는 내가 속한 세계의 변화를 인지하지 못하는 것일 것이다.

지금, NOW, 정말로 많은 것들이 빠르게 변화하고 있고, 이러한 변화들을 이전에 제한 적이었던 것들 까지도 바꾸고 있다. 특히 IT기술이라고 하는 것들은, 여러가지 변화를 이끄는 것들 중에서도 가장 두드러 진다. 

범인들은 모르지만, "나만은 이것을 알고 있어" 라고 발빠른 개발자들로부터 수년전부터 회자 되는 기술들과 용어들은 어느덧, 신문과 광고에서 흔하게 보게 된다. 그리고, 그 해의 트랜드를 이끌어가던 기술 용어와 세미나에 주제도 다루어졌던 주제들은 자연스럽게 삶속에 녹여들어가던지, 다른 새로운 용어로 대체되고 있다.

기술의 전환과 습득이 너무나도 자연스럽게 이루어 질수 있었고, 학습 능력과 경헝의 깊이에 따라서 얼마든지 새로운 트랜드를 자신 만의 것으로 바꾸고 변화시길 수 있었다.

이처럼, 얼마전까지만 해도, 최신 IT의 트랜드에 따라서 기술 습득이 가능했었다. 그러나, 지금은 이러한 습득화 학습이 쉽지 않은 시대로 가고 있다. 이전과는 다른 새로운 기술들은 분산화와 대량화라는 측면에서 비용과 안전성에 대해서 방향을 잡고 있는데, 기존 기술들이 성숙기 들어서면서 새로운 기술적인 요구사항이 나오면서 새로운 기술적 트랜드와 요구가 만들어진 것이다.

이전에는 개인이 PC한대면, 자신이 필요한 툴들과 WAS 그리고 DB까지 설치해서 개발이 가능한 시대였으나, 이제는 여러대의 PC로 구성된 분산 환경하에서 개발 요구사항들을 한가지 한가지 끝을 내야 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환경은 아직 성숙기의 기술들이 아니라, 성장기에 있기 때문에 개발자들이 좀더 세부적인 기능과 구성과 Architecture까지도 들여다 보아야 한다는 말이다.
DBMS와 같이 성숙과 안정화에 들어가 기술들은 영역의 구분이 명확하지만, 이는 그렇지 못하기 때문에 더욱 원하는 만큼의 기술 습득과 성장이 쉽지않고,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거나 사용성을 개선하는 것은 이를 이용하는 개발자와 프로젝트의 몫이기 때문에, 신규 적용에 대한 부담을 지고 가야하다. 

그리고, 지금은 분산환경에 대한 하둡, 카산드라, MongoDB, Redis와 같은 기술들을 쓰기 위해서 많은 업체와 기업들이 검토와 연구를 하고 있지만, 성숙기로 접어드면 이러한 기술들도 경쟁 가운데서 몇몇만 살아남게 될 것이 때문에, 많은 주의가 필요하다. 그리고 이들을 적용하기 위해서 규모가 있는 투자가 선행되면 다른 것으로 바꾸기 어렵기 때문에, 결정에 많은 시간과 사전 분석.검토가 필요하다.

한명의 개발자가 일어서기는 점점 어려운 시간으로 접어 들어가고 있다. 
기술의 규모와 성장은 이전과 다른 방향에서 진행되고 왔지만, 이를 적용하는 것은 너무나도 부지부식간에 일어난다. 무엇을 해야할지에 대한 고민도 더 많아지고 있다. 이는 이전에 어셈블러에서 C로 전환되는 것과 같이 큰 변화의 기로에서, 이전 것은 선택할지 아니면, 새로운 것을 선택할지에 대해서 요구되는 것과 유사하다. (물론 어셈블러를 더이상 쓸일이 없다는 말이 아니다.)  

새로운 것들을 알고 적용하는 것은 적지않은 노력과 시간을 요구한다.
작년 이맘때부터 준비하던 것들이 있었는데, 여러가지 이유로 제대로 적용을 하지 못했다. 
하지만, 가야할 길들이기 때문에 다시 하나씩 준비를 시작하려고 한다. 



:
Posted by 행복상자
2011. 7. 30. 09:18

사진없는 독일 출장기 (2) 행복/나의 생각2011. 7. 30. 09:18

작년에 쓰다가 만 들인데...그냥 남기기로 했다.

인천 공항에 독일행 비행기 티켓을 발권을 하고는, 비행기 타는 시간까지 남은 두여시간 동안, 환전도 하고, 로밍 서비스 등록을 했다. 아직도 2G폰을 사용하는 나에게 해외로 출장을 갈때 자동 로밍이 되지 않는 점이 제일 불편한 점이다. 
한동안 연락이 끊어졌던 친구들과 지인들이 예전 전화번호를 잊지않고, 전화를 했을 때에 언제나 처럼 내가 받는다는 장점 빼고는 더 나은 점도 없는데 나는 아직도 고집아닌 고집을 부린다.

비행기를 올라탔다, 여느 때처럼 비행기 출입구에 비치된 여러종의 신문들을 각각 하나씩 챙겨 들고는 복도쪽으로 예약되어 있는 내 자리로 갔다. 비행기는 가운데에 4개의 좌석이 좌우로 3개의 좌석을 갖추고 있었는데, 탐승객은 별로 많아 보이지 않았다. 전체 좌석수의 절반 정도였다.

독일까지는 약 11시간동안 비행을 하게 된다.
비행기에서 틀어 주는 영화들은 화질이 별로 좋지 않았기 때문에, 사실 그 동안 잘 보지 않았는데 그동안 시스템들을 보강을 했는지 제법 깨끗한 영상을 제공하고 있었다. 덕분에 프랑크푸르트 도착까지 영화를 5편이나 섭렵 할 수 있었고, 가져간 노트북과 책은 별 다른 도움이 되지 못했다.

드디어, 프랑크푸르트 공항.
도착 시간은 현지 시간으로 오후 5시경. 프랑크푸르트 공항을 그렇게 붐비거나 복잡하지 않았다.
독일 초행인 나를 챙겨 주겠다고 나온 후배가 차를 가지고 기다리고 있었다. 
차를 호텔까지 데리고 가는데, 많은 눈들로 뒤 덥힌 들판과 도로들이 어둠속에서 희미하게 보였다.
6시가 안된 시간인데도 겨울이라 그런지 한밤처럼 어둠이 가득했다.




'행복 > 나의 생각'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루를 반문하다.  (0) 2011.10.24
변화의 시절의 내가 살아가는 것.  (0) 2011.07.30
사진없는 독일 출장기 (1)  (0) 2011.01.16
벌써 1년이 지났다. 앞으로는...  (2) 2010.10.31
어떤 리더십을 원하는가?  (0) 2009.09.30
:
Posted by 행복상자
2011. 1. 17. 00:12

Mac에서 Windows 공유 폴더 연결하기 Tip & Tips2011. 1. 17. 00:12

그동안 손을 대지 않았던 Mac book을 오래 간만에 손을 대었다.  집에 새로 설치한 3TB짜리 NAS를 이용하기 싶은데, 갑자기 어떻게 이용해야 할지 생각이 나지 않아서 또 이리저리 열어보고 만져보다가 겨우 찾아 내었다. 아니 이렇게 고민할 필요는 없었는데 필요 이상의 시간을 낭비했다.

이를 연결하는 것은 의외로 너무나 간단하다.
Finder를 열고, 아래 이미지의 왼쪽 중간에 보이는 "공유"라는 항목을 클릭을 하면 네트워크 상으로 연결되어져 있는 PC들이 보이게 된다. 나의 경우는 최근에 구매한 노트북 한대와 NAS가 보여지는데, 연결하고자 하는 기기를 선택하고, 사용자 인증을 거치면 공유 폴더들이 보여지게 된다.
사용하는 방법은 윈도의 공유 폴더의 이용 방법과 동일하다. 보안을 위해서 계정과 암호는 반드시 설정하는 것이 좋다.  
:
Posted by 행복상자
2011. 1. 16. 16:45

사진없는 독일 출장기 (1) 행복/나의 생각2011. 1. 16. 16:45

지난 주까지 있었던 독일 출장은 내가 업무때문에 국외로 나간 출장중에 2번째로 멀고, 2번째로 오래동안 비행기를 타고가야 하는 나라이다. 

홀로 떠나는 출장이어서, 준비미숙에 따른 여러가지 시행착오가 있었다.

지난 12월과 1월에 "계속 내리는 눈과 춥다"라는 현지 근무자들의 말에 익숙해져서인지, 출장 준비할때 차를 랜트할 생각을 못했었다. 폭설로 눈이 많고 노면이 미끄러워서 차를 가지고 돌아다닐 환경이 되지 못한다는 것이었다. 하지만, 이것은 독일 현지에 도착해서는 귀담아 듯지 말았어야 할 말에 귀 담아 들은 첫번째 나의 잘못된 판단이었다.
내가 도착한 곳은 독일에서 5번째로 큰 도시인 프랑크푸르트였다. 인구는 약 60만명 밖에 안되는 도시인데, 5대 도시에 든다니... 독일의 전체 인구는 약 8000만명인데 비해 다섯번째로 큰 도시가 겨우 60만명이 거주한다니... 다르게 생각하면, 독일은 국가 전체적으로 균형 발전해 있는 나라라고 생각할 수도 있다.
내가 잘못 생각한 것은 택시를 타고 나녀도 될 만큼 독일이 물가가 싼나라가가 아니고, 인구가 적기 때문인지 택시를 잡기가 쉽지 않다. 미리 사전에 요청을 해야만 택시를 타고 다닐수 있다라는 것이다.

두번째로 귀담아 듯지 말았어야 할 말은 독일 어디서든 카드가 되니, 돈을 많이 환전할 필요가 없다라는 것이었고, 1주일 정도 있을 예정이면, 우리돈으로 약 10만원만 있으면 된다라고는 것이었다. 그 이야기를 들은 나는 100유로(약 16만원)만 환전해 가야지라고 마음을 먹었다. 그러나, 이동 수단으로 택시를 이용할 계획이라면, 약 10~15분 거리도 우리돈으로 5만원은 족히 나온다. 가지고 간 현금은 금방 없어질 것이라는 이야기이다.

내가 출장을 떠나는 것을, 제일 좋아하는 사람은 아마도 가족이 아닐까? 출장후에 선물을 사다 주어야 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 되어버렸지만, 선물 고루는 일은 내가 제일 하기 어려운 일중에 하나이다. 생각하면서 고루지만, 100% 맘에 든다는 확신이 없을 것이기 때문이다. 다행이도 나의 손에 선물리스트가 있었기에, 인천 공항을 헤집고 다니면서 부지런히 찾아 헤메었다.

다른 사람들의 선물들은 잘 챙기는데, 나를 위한 것도 하나쯤은 있어야 할 것같아서 이번에는 꼭 하나를 사겠다고 마음을 먹었다. 그래서 약4년동안 사용하고 있는 아이팟 터치 1세대를 이번에는 신형으로 바꾸겠다고 마음을 먹고 가전제품을 파는 곳으로 갔다. 아이팟 터치가 보였고 299달러라는 가격표가 눈에 들어왔다.
이 가격이면 한화로 약 33만원 정도로 한국 애플매장에서는 사는 거보다 싸겠다는 생각이 들었는데, 자세히 보니 8G제품이었고, 32G 제품은 399달러였다. 미국 애풀 웹사이트에 가면 32G가 299달러 였었는데, 이보다 약 100불이 면세점에서 더 비싼 것이었다. 결국 마음을 바꾸는 수밖에 없었다.

면세품이면 모두가 싼줄 알았는데, 결국 아니라는 사실을 시행착오를 거치면서 알아냈다.
  

※ 사진이 없다고 했는데, 너무 심심해 보여서 예전에 찍은 사진을 하나 넣어본다.



:
Posted by 행복상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