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10

« 2009/10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2009/10'에 해당되는 글 3

  1. 2009.10.20 Byte and Bit에 대해서...
  2. 2009.10.04 GRails 공부 자료들...
  3. 2009.10.01 Introduction HTML 5
2009. 10. 20. 06:36

Byte and Bit에 대해서... 공부하는 것2009. 10. 20. 06:36

최근에 지인과 같이 아야기 하다가, 이 기종시스템의 포팅에 대한 이야기가 나왔는데, 그 때 그 친구가 Byte에 대한 정확한 의미를 알지 못하면, 낭패를 볼수 있다는 말을 하였다.
나는 내 기억을 근거로 단지 1 Byte면 8 bit가 아니냐? 그런데 왜 어렵지? 라고 반문하였다.
그 친구는 1 Byte의 단위가 시스템마다 전혀 다른 의미로 사용 될 수도 있다는 것이었는데, 예전의 오래전 기억을 더듬으면서, 그런것도 같고 아닌것도 같고 확신은 하지 못했다. 그리고 나서 나에게 메일로 이에 대해 바로 알수 있도록 위키의 링크를 보내 주었다.

이에 대해서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한국 위키디피아 사이트에서 Byte로 검색을 하거나 "http://ko.wikipedia.org/wiki/바이트"로 링크를 찾아가면, 바이트에 정의에 대해서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일정한 개수의 비트로 이루어진 연속된 비트열. ‘일정한 개수’가 항상 정해진 건 아니지만, 최근에는 사실상 1바이트를 8비트로 간주하는 경우가 흔하다.

위에서와 같이 연속된 bit열를 Byte의 단위로 사용하는데, CDC 6000계열의 메인프레임은 6bit를 1 Byte로 사용하고 있으면, CDC의 경우 12bit를 1Byte로 부르기로 했다는 것이다.
최근에는 대부분 8bit를 1 Byte로 이용하고 있지만, 6bit, 7bit, 12bit가 1 Byte로 이용되고 있다.

여기까지는 한국 위키디피아에 정리되어 있는 내용을 정리한 것이고, 영문 위키디피아 사이트에서 정의된 것을 찾아보면 좀더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다.
영문 사이트도 마찮가지로 "Byte"로 검색을 하거나, 다음의 "http://en.wikipedia.org/wiki/Byte" 의 링크를 이용해서 찾아가면 된다.

"byte"는 1956년에 Dr. Werner Buchholz에 의해서 사용되었고, 이는 IBM의 IBM scratch computer를 디자인하는 동안 사용되었다. 이때는 4bit를 1byte로 설계되었다고 한다. 전형전인 I/O장비는 6bit를 1byte로 사용하다가, 나중에 System/360에 8bit를 1byte를 사용하기 시작하면서, 규격이 정해지고 표준화 되었다.

사실상, byte는 computer에서 한번에 읽어 올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로 사용되었고, 그런 의미에서 bite가 제대로된 표현이며, bite는 "한입에 베어 물다"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byte의 단어의 변화는 초기에 과학자들이 규격을 정할때,  bit와 bite와의 혼돈을 피해서 사용시에 실수를 줄이려는 의도가 담겨져 있다. 그래서 bite 대신에 오늘날 byte를 사용하는 것이다.

한가지 더, 요즘은 저장장치가 테러바이트 단위로 나온다. 그 이상의 단위는 거의 생각해 보지 않았었는데, 이번 기회에 알아보았는데, 아래와 같은 단위로 정의되어져 있다. 메가에서 기가로 단위로 바뀔때도 엄청난 도약이라고 생각했었는데, 이제 테라를 거쳐 페타의 시대로 갈 것이라고 하니 기술과 정보의 양은 정말 놀랍도록 발전한다. 아마도 페타의 시대로 가려면 과거를 기준 삼아 약 5년이 걸릴것 같다. (이는 순전히 나의 예상임)

Prefixes for bit and byte multiples
Decimal
ValueSI
1000 k kilo
10002 M mega
10003 G giga
10004 T tera
10005 P peta
10006 E exa
10007 Z zetta
10008 Y yotta
Binary
ValueIECJEDEC
1024 Ki kibi K kilo
10242 Mi mebi M mega
10243 Gi gibi G giga
10244 Ti tebi
10245 Pi pebi
10246 Ei exbi
10247 Zi zebi
10248 Yi yobi

(위 표는 wikipedia에서 발췌했음.)

간단하게 bit와 byte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
Posted by 행복상자
2009. 10. 4. 10:55

GRails 공부 자료들... 공부하는 것2009. 10. 4. 10:55

오늘 추석 연휴의 첫날, 새벅같이 일어났으면 좋으련만, 휴일이라는 핑계로 7시 경에 일어나서 어제 찾아 보던 자료를 마져 보았다.

최근에 웹기술들은 정말 눈부시게 발전하지만, 그 중에서 가장 눈에 띄는 것은 RIA쪽과 다양한 브라우져들 그리고 자바쪽의 Spring framework이다. 
Spring framework는 자바를 이용한 웹개발에 많을 변화를 몰고 왔는데, EJB를 반드시 써야한다는 국내 대규모 웹 개발 풍토에 많은 변화를 주었다. 단지 마케팅과 정치적인 주장에서 개발 효용성을 안전성과 성공사례를 통해서 바꿔버렸다. 

하지만, 개선은 어디서나 일어나나 보다. 자신의 아이디어이든 다른 이의 아이디어이든, 좀더 쉽고 빠르고 안정성있는 개발을 원하는 것은 개발자들의 희망이자 욕심이다.

그중에서 GRails와 Groove는 스프링 프레임워크의 적자는 아니었다. 하지만 로드존슨이 Dynamic Language에 대한 애정을 매 컨퍼런스마다 비추었었는데, 결국은 정확이 기억이 나지 않지만, 지난해에 Groove를 SpringSource에 합병시키고, 자신의 제품라인 중에 하나로 만들었다.

Grails를 공부하기 위해서는, 사실 이것은 어제 오늘 내가 찾아본 사이트들인데, 이미 RubyOnRails에 대한 겅험이 있는 사람이라면, 그 기본 Feature를 잘 알고 있기 때문에, 이해하가 어렵지 않을 것이다.

Grails Site
- Grails: http://grails.org/
- Grails Documents: http://grails.org/Documentation
- Grails Quick Start; http://www.grails.org/Quick+Start
- Grails Tutorials; http://www.grails.org/Tutorials

IBM Developers Network:


IBM의 개발자 네트웍스에 올라와 있는 자료들은 모두 한번씩 읽어 볼만 하다.
내용은 많을 지도 모르겠지만, 각 예제들이 연결되어 있어서 공부하는데, 많은 도움이 될거라 생각된다.

하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자신의 PC에 환경을 구성하고, 하나 하나 실행해 보는 것만큼 큰 도움이 되는 것은 없을 것이다. 새로운 것을 아무런 부담없이 공부할 수 있다는 것은 즐겁다. 이것도 또한 일로 연결될 수 있다면, "이보다 더 좋을 수 없다" 이다. ^^

:
Posted by 행복상자
2009. 10. 1. 06:18

Introduction HTML 5 좋아하는 것/Google2009. 10. 1. 06:18

어제 우연히 Google Code 사이트에 들어가 보니, 새로운 세미나 동영상이 몇개가 어제 날짜로 추가되었다. 이 동영상은 그 중에 하나로 "Introduction HTML 5"라는 제목으로 올라와 있었다. 최근에 여러 경로를 통해서 HTML 5애 대해서 소개되고 있고, 관심이있는 주제라 나름 열심이 보았다.

새로운 것에 관심을 갖는 것은 내 개인적인 성향이지만, 새로운 것이기 때문에 반드시 써야 한다고 고집하지는 않는다. HTML 5는 HTML 4가 발표되고 사용된지 10년이 지난 후에 나온 것이지만, 완전히 새로운 기술은 아니고, 이미 사용되고 있는 기술들이다. 단지 이는 기존 기술들을 좀도 표준화하고 정규화 함에 지나지 않을 수도 있지만, 이를 통해서 우리가 표현하고자 하는 것들일 서로 다른 브라우져에서 동일하게 표현될 수 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이를 위해서는 좀더 시간이 필요할 것 같다. 새로운 기술 또는 표준이 온전히 쓰이기 위해서는 양보와 타협이 선행되어야 하는데, 브라우져 개발사 마다 자신들에게 유리한 기술과 스펙을 표준으로 삼기위해 보이지 않는 싸움이 계속되기 있기 때문이다.

이 비디오는 한국어 자막도 없이 진행되기 때문에 이해하기 어려운 점이 많을 수 있지만, Presentation화면과 데모 동영상을 보면 대부분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동영상은 약 42분 정도로 진행되고, 최근에 제작된 동영상이라 화질과 음색이 좋다.

열심히 공부하고 열심히 배워서, 좋은 개발자가 되자. ^^

:
Posted by 행복상자